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

ETF 용어 (레버리지, 합성, H, TR) ETF 투자해야 하는 이유1. 미국의 톱기업들의 주식을 조금씩 저렴하게 분산투자할 수 있습니다. 2. 특정 사업 분야에서 1등은 대부분 미국 기업입니다. 따라서 안정적인 이익률과 낮은 리스크로 운용할 수 있습니다. 3. 일일이 개별 주식의 시장과 기업을 분석하기 어려운 경우 ETF를 통해 리스크를 줄일 수 있습니다.    ETF 용어 이해하기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산운용사 브랜드명 + 추적 지수와 전략 + 기타  1. 제일 앞에는 운용하는 브랜드를 표기합니다. KBSTAR는 KB자산운용, KODEX는 삼성자산운용, TIGER는 미래에셋자산운용, ACE는 한국투자신탁운용, ARIRANG은 한화자산운용, SOL은 신한자산운용, KOSEF는 키움투자자산운용입니다. 해외 ETF중 Vanguard, iSh.. 2024. 6. 19.
어떤 ETF를 사야할까? ETF란? ETF는 ‘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입니다. 즉, 시장에 상장되어 거래되는 펀드를 말합니다.  대표적으로는 지수추종형 ETF가 있습니다.지수추종형이란 특정 지수의 수익률을 그대로 따라가도록 만들어진 ETF를 말합니다.  * 예를 들어 코스피200을 추종하는 ETF가 있습니다.코스피200이란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는 200개 기업의 시가총액의 평균을 지수화한 것입니다. 200개 기업은 시가총액, 거래량 등의 종합적인 기준을 가지고 선정합니다. ( TIGER200, KBSTAR 200 이 있습니다. ) 그래서 지수추종 ETF의 수익률은 지수의 강약에 따라 달라집니다.    어떤 ETF를 골라야 할까요?괴리율을 보면 됩니다. 괴리율이란 펀드가 추종하는 지수의 등락률을 얼마.. 2024. 6. 13.
부채 비율과 유보율을 확인해야 하는 이유 기업의 자본조달 기업의 자본조달 방식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1.부채   2.자기자본 1. 부채는 외부에서 빌려온 자금이기 때문에 타인자본이라고도 하며,  2. 자기자본은 주주들로부터 투자받은 돈입니다.  자기자본비율은 50%이상일 때 안정성이 높다고 봅니다.하지만 자기자본보다는 부채를 이용하는 것의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2가지 방식을 적절하게 분배해야 합니다.   부채의 특징 부채는 매출과는 상관없이 약속한 이자와 원리금을 반드시 갚아야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부채라고 무조건 나쁜 것은 아니지만, 부채비율이 높은 기업이 환경의 영향으로 매출이 저조할 때에는 재무상태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부채라고 모두 이자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매입채무’의 경우, 기업이 외상으로 원재료나 상품을 매입할 때 발.. 2024. 6. 4.
유가와 주가 사이의 상관관계 최근 고유가, 고환율에 물가가 급등했다는 기사 많이들 보셨을 겁니다. 이와 같은 시대 흐름을 스태그플레이션이라 합니다.   스태그플레이션이란?경기 침체 시기에 물가가 오르는 현상을 말합니다. 침체를 의미하는 "Stagnation"과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Inflation"의 합성어로, 저성장, 고물가 시대를 말합니다.  기본적으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경기가 좋을 때 물가가 상승하고, 경기가 나쁠 때 물가가 하락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1973년 석유파동 이후로 유가인상으로 인해 기업들의 비용이 늘어나면서 생산과 고용이 하락하며 경기침체가 찾아왔지만, 물가는 오르는 현상이 새롭게 나타나게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물가는 무조건 낮으면 좋을까요?그렇지 않습니다. 1. 소비자는 물가가 더 떨어진 뒤에 .. 2024. 5. 30.